-
[Node]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아웃 구현하기back-end/nodejs 2019. 12. 26. 15:52
개발 목표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아웃 필요한 라이브러리 mongoose passport passport-local passport-local-mongoose connect-mongo 회원 가입 회원가입은 DB에 회원의 정보를 넣는다. 회원의 정보를 넣을 Schema를 생성 클라이언트에서 받은 회원가입 form 데이터를 DB에 삽입 ※ passport-local-mongoose를 플러그인 사용 데이터 삽입 데이터를 삽입시 알아서 데이터를 변환하여 저장 MongoDB에 데이터가 들어갔는지 반드시 확인 - use [dbname] - db.[collection].find({}) 로그인 로그인은 사용자가 입력한 from 데이터가 유효하면 로그인 된다. 유효성 체크는 passport에서 알서 해준다. 따라서 pass..
-
[191224] 개발일지개발일지 2019. 12. 24. 17:18
개발 목표 회원가입 기능 구현하기 개발 내용 Post join controller : clinet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읽어 MongoDB에 저장 Post login controller : join으로 등록된 user의 데이터가 인증되면 home이동, 아니면 join이동 commit Post join : https://github.com/ckdtjs505/cstube/commit/41e95e3ac2a42ac57c1f8472d95ba6bcc1117eba commit Post login : https://github.com/ckdtjs505/cstube/commit/db99de029220f007e04700af4e61de7ea1bd1723 개발 이슈 처음으로 git hub에 issue를 등록 : 되게 뿌듯했당 ..
-
[운영체제] Round-Robin(라운드 로빈) 스케줄러운영체제 2019. 11. 2. 21:40
목표 Round-Robin 스케줄러를 이해한다. Round-Robin 스케줄러의 동작원리를 이해한다. Round-Robin 스케줄러란?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선점형 스케줄링의 하나 시간 단위로 CPU를 할당하는 방식 Round-Robin 스케줄러 동작원리 선택 함수 : 가장 오랫동안 대기하는 프로세스 선택 결정 모드 : preemtive(선점형) 프로세스는 하나의 TIME Slice 동안에 실행 매번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ready queue에 보내고 가장 오랫동안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선택 Round-Robin 스케줄러 동작원리 직접 보기 정리 선점형 방식이므로 매 초마다 큐의 갱신이 일어난다. 가장 오래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https://slidesplayer.org/slide/14..
-
[운영체제] Scheduling (스케줄링)운영체제 2019. 11. 2. 13:27
목표 Scheduling의 의미와 3가지 타입인 Long-term, Medium-term, Short-term을 이해한다. Short-term Scheduling의 퍼포먼스 기준과 특징을 이해한다. Short-term Scheduling의 6개의 알고리즘을 이해한다. CPU Scheduling의 의미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실행 준비 상태인 프로세스 중 다음에 실행될 프로세스를 결정 및 할당 CPU Scheduling의 타입 Long-term scheduling - 어떤 프로세스를 시스템에서 실행할지 결정 Medium-term scheduling - 어떤 프로세스를 swapping 할 것인지를 결정 Short-term scheduling - 어떤 프로세스를 다음에 실행할 것인지 결정(Dispatche..
-
[BOJ] 17296 : But can you do it in 0.5x A presses?알고리즘/백준 알고리즘 2019. 11. 1. 06:34
문제 이해하기 A 버튼을 누르는 최소 횟수 구하기 A 버튼을 X+0.5번을 누른 경우는 이전 스테이지를 깨고 다음 스테이지를 시작한 경우 예제 입력으로 문제 이해 하기 입력값이 0.5 1.5 0 1.5 1인 경우 각 스테이지의 필요한 A 버튼의 최소 횟수가 주어진다. 1 STAGE : 0.5 - 이전 스테이지가 없으므로 한번 눌러준다. (누른 상태를 유지한다!) => 총 1회 2 STAGE : 1.5 - 1 STAGE에서 누른 상태이므로 1번만 더 누르면 된다. => 총 2회 3 STAGE : 0 - 2 STAGE에서 누른 상태를 유지하자(최소 횟수를 구해야 하므로) => 총 2회 4 STAGE : 1.5 - 3 STAGE에서 누른 상태로 왔으므로 1번만 더 누르면 된다 => 총 3회 5 STAGE : ..
-
[GraphQL] 개념 이해하기front-end 2019. 10. 29. 18:15
목표 GraphQL의 정의를 알아본다. GraphQL의 특징을 알아본다. GraphQL과 Rest API를 비교한다. GraphQL 정의? 페이스북에서 만든 API를 위한 쿼리 언어 GraphQL을 왜 쓰는가? 웹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효율적으로 가져오기 위함 기존에 사용하는 Rest API 보다 훨씬 빠름 엄청난 호환성 FETCH, AXIOS 사용할 필요가 없음 FLEX 구조의 리덕스를 대체 가능 GraphQL의 특징 GraphQL은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서버로 효율적으로 가져온다 GraphQL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작성하고 호출한다. GraphQL은 특정 데이터베이스나 플랫폼에 종속적이지 않다. GraphQL과 Rest API의 차이 Rest API는 다양한 Endpoint 존재, Gr..
-
[CSS] display 속성이해하기 (block, inline, none)front-end/css 2019. 10. 28. 16:47
목표 display 속성중 하나인 inline 속성에 대해 이해한다. inline속성과 block 속성의 차이를 이해한다. display 속성이란? display는 화면에 보여주다는 의미한다. display 속성은 어떻게 화면에 보여줄지를 결정한다. display 속성중 none은 화면에 보여주지 않는다. display inline 속성이란? display의 속성은 inline, block, none, inline-block 등 여러가지 존재 inline 속성은 display의 default 값 ( display을 지정하지 않으면 inline 값을 가진다. ) inline 속성을 가진 tag로는 , , inline 속성은 줄 속에 넣는 요소. 즉 줄바꿈되지 않는다. 한줄에 여러개가 배치 가능하다. inl..
-
4-3 파일 다루기back-end/nodejs 2019. 7. 15. 09:22
- 노드의 경우 동기식, 비동기식 IO를 둘 다 제공한다. -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해 fs 모듈을 사용한다. readfile(filename, encoding, callback) 비동기식으로 파일을 읽는다 readfileSync(filename, encoding) 동기식으로 파일을 읽는다 writefile(filename, data, encoding, callback) 비동기식으로 파일을 쓴다. writefile(filename, data, encoding) 동기식으로 파일을 쓴다 1) 파일 읽기 - 비동기 var fs = require('fs'); fs.readfile('./doit.txt','utf8', function(err, data) { console.log(data); }); - 동기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