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eduling의 의미와 3가지 타입인 Long-term, Medium-term, Short-term을 이해한다.
Short-term Scheduling의 퍼포먼스 기준과 특징을 이해한다.
Short-term Scheduling의 6개의 알고리즘을 이해한다.
CPU Scheduling의 의미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실행 준비 상태인 프로세스 중 다음에 실행될 프로세스를 결정 및 할당
CPU Scheduling의 타입
Long-term scheduling - 어떤 프로세스를 시스템에서 실행할지 결정
Medium-term scheduling - 어떤 프로세스를 swapping 할 것인지를 결정
Short-term scheduling - 어떤 프로세스를 다음에 실행할 것인지 결정(Dispatcher)
CPU Scheduling의 기준
사용자 관점(Uesr) 1) Response Time(응답 시간) : 프로그램이 들어온 시점 부터 프로그램이 시작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2) Turnaround Time(작업 반환 시간) : 프로그램이 들어온 시점부터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시스템 관점(System) 1) Processor utilization(CPU 이용률) : 단위 시간당 수행하는 CPU의 이용량 2) Throughput(CPU 처리율) : 단위 시간당 수행 완료하는 프로세스 수
CPU Scheduling 알고리즘의 특성
선택함수(selection function) - ready queue에 있는 프로세스 중 다음에 실행할 프로세스 결정 방법
결정 모드(decision mode)- 선택 함수를 실행할 시점을 정의 1) Non-preemptive(비선점) : 프로세스가 실행상태가 되면 실행을 종료되기 전까지 실행을 계속 2) Preemptive(선점)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지해 ready queue에 보내고 새 프로세스를 실행
CPU Scheduing 알고리즘
First Com First Served (선입 선처리) 스케줄링 1) 선택함수 - ready queue에서 가장 오랫동안 대기하는 프로세스 선택 2) 결정모드 - Non preemptive
Round-Robin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 1) 선택함수 -ready queue에서 가장 오랫동안 대기하는 프로세스 선택 2) 결정모드 - preemptive
Shortest Process Next : SPN (짧은 프로세스 우선) 스케줄링 1) 선택함수 - 가장 짧은 수행 시간을 가진 프로세스를 선택 2) 결정모드 - Non preemptive
Shortest Remaining Time : SRT (최단 잔여시간) 스케줄링 1) 선택함수 - 잔여 처리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 선택 2) 결정모드 - preemptive
Highest Response Ratio Next: HRRN (최고 응답률 우선) 스케줄링 1) 선택함수 - 응답비율이 가장 큰 프로세스를 선택 2) 결정모드 - Non preemtive
Priority(우선순위) 스케줄링 1) 선택함수 - 높은 우선순위 프로세스를 선택 2) 결정모드 - preemptive